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Using SBAR on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in Pediatric Nurses

Original Article
전 보영  Boyeong Jeon1김 미연  Miyeon Kim2태 향미  Hyangmi Tae3엄 수환  Soohwan Eom1정 예슬  Yeseul Jeong4,5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liminary efficacy of an SBAR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 communication program and to examine on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in pediatric nurses. Methods: This study used a one-group pre-post test design to examine the preliminary efficacy of the education program using SBAR. The SBAR program consisted of three steps (lecture, video observation, and simulation) and was applied for 30 minutes to the intervention group. The participants were 30 pediatric nurses from one metropolitan city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communication clarity scale, communication confidence scale, and clinical performance checklist) on October 30, 2023.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and paired t-tests with the SPSS Win 23.0 program. Results: After the education program using SBAR, communication clarity (t=-5.26, p<.001), communication confidence (t=-5.67, p<.001), and clinical performance (t=-2.67, p=.012) showed preliminary efficacy of improvement among pediatric nurses.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potential benefits of SBAR-based education and suggest its applicability in pediatric nurse education.

Keyword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병원 환경이 복잡해짐에 따라 의료인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은 다양한 의료 상황에서 대상자의 정보와 상태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간호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능력이다[2]. 간호사는 대상자의 가장 가까이에서 의사소통을 하며, 직접 간호와 보호자 교육 및 상담을 제공한다. 또한 병원 내 여러 직종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작용의 중심 역할을 한다[3]. 이러한 역할을 가진 간호사의 부적절한 의사소통은 투약 오류, 진단 지연, 환자 치료의 오류, 진단 지연이나 사망 등의 환자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으며, 간호사들의 업무 효율성 저하와 이직 결정에도 영향을 미친다[4].

임상현장에서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표준화된 지침과 도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5], 의료 질 향상 기구인 미국의 IHI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는 구조화된 의사소통 도구로 SBAR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 사용을 제안하고 있다[6]. SBAR는 의료진 간 환자의 상태에 대해 간결하고 체계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구조화된 전달 도구로, 네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다. 환자에게 발생한 문제를 간략하고 명확하게 전달한 뒤(상황, Situation), 해당 문제와 관련된 환자의 병력이나 임상 정보를 간략히 제공함으로써 타 의료진의 이해를 돕는다(배경, Background). 이후 환자 상태를 분석하고 임상적 판단을 바탕으로 문제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며(사정, Assessment), 이후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조치나 바라는 대응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제안, Recommendation)[6]. SBAR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 상황, 배경, 평가 및 제안의 요소에 맞추어 환자 상태를 정리한 후 정확하게 전달하고,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같은 형식을 공유함으로써 정보에 대하여 미리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의사소통 시 중요한 정보가 누락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불필요한 정보는 생략할 수 있게 한다[6]. 향상된 의사소통능력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7], 궁극적으로 팀워크 개발과 환자 안전 문화 조성에 도움을 준다[6, 8].

간호사를 대상으로 SBAR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상급종합병원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명확성과 의사소통 자신감 향상과[9,10],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명확성, 인수인계 질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10]. 또한 김동원과 신정순의 연구에서도[11] 아동 간호 환경 시나리오를 통해 간호 학생의 의사소통 명확성과 의사소통 자신감 증진에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아동을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은 더욱 명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12]. 아동의 치료는 성인과 다르게 성장 발달하고 있다는 특성으로 인해 연령대, 체중 등에 따라서 약물 용량, 의료 장비의 크기, 적용하는 치료 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의료 인력은 대상이 아동일 때 더욱 고려할 사항이 많아 어려움을 느낀다고 하였으며[13], 실제 응급 상황 등에서 성인의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아동 환자의 투약 오류 등의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확률이 더 높다고 나타났다[14]. 또한 성장 과정에 있는 아동의 특성으로 인해 간호사는 아동으로부터의 유의미한 정보를 얻고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어, 의사와의 명확한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한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15]. 이렇듯 아동 간호사의 명확한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아동 간호 환경에 맞는 SBAR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결과를 확인한 연구는 거의 시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아동 간호사들에게 적용하여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과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2.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아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SBAR를 활용하여 표준화된 의사소통 도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과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1) 아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SBAR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2) 아동 간호사에게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한다.

3. 연구의 가설

본 연구에서 SBAR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 SBAR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 간호사는 참여 전보다 의사소통 명확성이 향상될 것이다.

2) 제2가설: SBAR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 간호사는 참여 전보다 의사소통 자신감이 향상될 것이다.

3) 제3가설: SBAR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 간호사는 참여 전보다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와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단일군 사전사후(one group pre-posttest design) 유사 실험 연구의 2단계로 진행한 연구이다(Fig. 1).

https://www.nhs.or.kr/images/NHS-2401-02_image/NHS_24_01_02_F1.jpg

Fig. 1.Research design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 소재 K대학병원 아동 관련 부서(소아 병동, 소아중환자실 및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직접 환자 간호를 수행하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간호사이다. 단, 입사 3개월 미만의 신규간호사는 제외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 수는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및 임상판단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메타분석한 선행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산출하였다[16]. 해당 메타분석에서는 의사소통 영역에서 중간 수준(Cohen’s d = .50), 임상판단능력 영역에서 높은 수준(Cohen’s d ≈ .80)의 효과크기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대상, 교육 내용, 종속변수에 있어 일부 차이가 있으나, 보다 보수적인 기준을 적용하기 위해 효과크기 d = .50, 유의수준(α) = .05, 검정력(1–β) = .80으로 설정하여 G*Power 3.1.9.7 프로그램을 이용해 산출하였다. 이에 따라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에서 Paired t-test 시 필요한 최소 표본 수는 27명으로 도출되었다.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총 3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나, 근무지 변경 등으로 인한 탈락자 1명이 발생하여 최종 3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3. 연구도구

1) 의사소통 명확성

총 14문항으로 Marshall, Harrison과 Flanagan이 개발하고[17] 조혜진[18]이 수정·보완하였다. 5점 Likert 척도로 최고 70점에서 최저 14점으로 의사소통의 명확성이 높아질수록 점수가 높음을 의미한다. 이 도구의 신뢰도는 조혜진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77이었으며[18],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는 .83이었다.

2) 의사소통 자신감

김은정[19]이 개발한 임상상황에서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시의 자신감의 정도로, 표준화된 내용에 따라 SBAR(상황, 배경, 평가, 제안)의 총 5문항으로 구성된 10점 Likert 척도로, 최저 5점에서 최고 50점으로 의사소통의 자신감이 높을수록 점수가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개발 당시 Cronbach’s α는 .95이었으며[19],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는 .96이었다.

3) 임상수행능력

김정희[20]가 개발한 총 21개의 문항으로 인수인계 상황에서 환자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량으로 환자의 일반적 사항, 측정 및 관찰, 투약 변화, 수술 및 시행, 영양, 호흡간호, 기타의사소통의 영역에서 누락없이 인계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각 영역의 항목을 해당없음 0점, 미시행 1점, 부분시행 2점, 시행 3점의 3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여 최저 0점에서 최고 62점의 분포를 이루며, 점수가 높을수록 인수인계 시 환자의 상태를 명확하고 포괄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임상수행능력이 뛰어남을 의미한다. 이 도구의 신뢰도는 개발 당시 Cronbach’s α는 .70이었으며[20],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1이었다.

4. SBAR 교육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의 흐름은 분석, 설계, 개발, 실행과 평가의 다섯 단계의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형으로 진행하였다(Fig. 2) [21]. 본 연구에서는 분석, 설계와 개발의 3단계 과정을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 아동 환자 다빈도 간호 상황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제작 단계로 실행과 평가는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효과검정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https://www.nhs.or.kr/images/NHS-2401-02_image/NHS_24_01_02_F2.jpg

Fig. 2.Flowchart of the development of an SBAR-based education program for pediatric nurses

1) 분석 단계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D광역시 소재 K대학병원의 소아 병동 수간호사 1인과 책임간호사 1인, 소아중환자실 책임간호사 1인 및 소아 병동에서 근무하는 신규(6개월 이상 1년 미만) 간호사 1인과 전입(6개월 이상 1년 미만) 간호사 2인 등 총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면담의 주요 내용은 환자상태를 의료진에게 보고할 때 어려움과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의사소통 교육 요구도에 대한 내용이었다.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임상현장에서 의료진간의 의사소통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하였으며, 환자상태 변화 시 정확한 정보전달의 어려움이 있고 표준화된 의사소통 도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연구자는 인터뷰 내용을 통해 의미있는 자료를 도출하였고, SBAR 의사소통에 대한 선행연구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최근 10년간 발표된 국내·외 학술 문헌을 검색하였다. PubMed, RISS, DBpia, KISS를 통한 문헌을 검색한 결과 SBAR 의사소통과 관련된 국내문헌은 48편, 국외문헌은 88편으로 총 136편이 검색되어 분석에 사용하였다. 환자상태 변화가 접목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고, 구조화된 메모지를 제공하는 SBAR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여 이를 적용하였다.

2) 설계 단계

설계 단계에서는 분석 단계에서 실시한 ‘의사소통 교육’ 요구도 분석과 국내·외 문헌고찰 결과를 기반으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항목을 도출하였고, 프로그램의 목표, 교육내용, 교육전략,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을 설정하였다.

3) 개발 단계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 단계는 교수자료 개발, 형성평가 및 수정하는 단계로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하여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초안을 만들었고 전문가 5인의 내용 타당도 평가를 통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또한 소아병동 입원 환아의 다빈도 간호 상황에 대하여 SBAR 의사소통 구성요소인 상황, 배경, 사정, 제안 순으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제작하였다(Table 1).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은 아동간호학 교수 1인, 임상경력 20년 이상의 수간호사 2인, 책임간호사 2인의 검토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점검 받았으며, 수정, 보완하여 최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able 1. Educational Program Using SBAR

https://www.nhs.or.kr/images/NHS-2401-02_image/NHS_24_01_02_T1.png

4) 실행 단계

분석, 설계 단계를 거쳐 완성된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3단계로 구성하여 1단계 이론 강의, 2단계 동영상 시청, 3단계 시뮬레이션 교육으로 진행하였다. 이론 강의는 파워포인트를 사용하여 30분으로 구성하였는데 SBAR 교육 프로그램 소개, 의사소통의 중요성, SBAR의 정의, SBAR의 구성요소, SBAR 적용 효과 및 임상 적용 예시와 전반적 교육 진행 과정 등을 설명하여 참여자의 동기를 강화하였다.

동영상 시청은 SBAR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의사소통의 중요성 및 SBAR의 구성요소, SBAR 의사소통 적용 전과 후의 의사소통 변화, 아동 환자 다빈도 간호 상황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예시(발열, 호흡곤란, 열성경련) 3가지를 참여자에게 개별 동영상 발송을 통해 시청하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시범교육 및 2인 1조 역할극 실습과 디브리핑 및 피드백 시간으로 이루어졌다. 3단계 교육이 끝난 후 아동 환자에서 다빈도로 발생하는 간호 상황(발열, 호흡곤란, 열성경련)에서SBAR를 활용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가이드가 기재된 상황별 SBAR기록지를 참여자들에게 제공 후 임상 실무에서 2주간 적용하도록 하였다. 1단계 이론 강의와 3단계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사의 교대근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3~4명으로 구성된 10개 팀으로 나누어 교육을 진행하였다.

5) 평가 단계

프로그램 실행 후 교육에 참여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명확성과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대해 설문도구로 평가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였고, 소그룹 역할극 시행 후 디브리핑 및 피드백을 통하여 교육의 효과를 강화하였다.

5. 자료수집

자료수집은 K대학교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2023년 8월 21일부터 10월 2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사전조사는 2023년 8월 21일부터 8월 26일까지 연구자가 직접 소아 병동, 소아중환자실, 신생아중환자실을 방문하여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실시하였다. 사후조사는 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 2023년 10월 25일부터 2023년 10월 29일까지 실시하였다.

6.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기 전 K대학병원의 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로부터 본 연구의 목적, 방법, 설문지, 피시험자 관리보장 등에 대한 심의를 거쳐 연구 승인을 받은 후 진행하였다(IRB No. DSMC 2023-07-086). 연구자가 직접 대상자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수집한 정보는 연구 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것이며 대상자의 익명성과 비밀보장, 연구 도중 언제든지 참여를 거부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7.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version (IBM Corporation, Armork, NY,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2) 대상자의 사전·사후 의사소통 명확성과 의사소통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의 정도는 평균 및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3) 대상자의 사전·사후 의사소통 명확성과 의사소통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의 차이는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2와 같다. 평균 연령은 28.33±6.35세였으며, 26세에서 30세가 17명(56.7%)으로 가장 많았다. 총 임상 경력은 평균 59.47±71.00개월이었으며, 37개월 초과가 13명(43.3%)로 가장 많았다. 부서 경력은 평균 19.9±16.06개월로, 12개월 미만이 14명(46.7%)으로 가장 많았다.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N=30)

https://www.nhs.or.kr/images/NHS-2401-02_image/NHS_24_01_02_T2.png

2. 가설 검증

대상자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의 교육 전·후 차이는 Table 3과 같다. 대상자의 의사소통 명확성의 사전점수는 평균 57.27±6.41점에서 사후점수 평균 64.77±5.39점으로 7.5점 증가하여 SBAR 의사소통 교육 시행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5.26, p<.001). 따라서 ‘SBAR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 간호사는 참여 전보다 의사소통 명확성이 향상될 것이다.’라는 제1가설은 지지되었다.

의사소통 자신감의 사전점수는 평균 35.43±7.45점에서 사후점수는 44.80±5.47점으로 9.4점 증가하여 SBAR 의사소통 교육 시행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5.67, p<.001). 따라서 ‘SBAR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 간호사는 참여 전보다 의사소통 자신감이 향상될 것이다.’라는 제2가설이 검증되었다.

임상수행능력의 사전점수는 55.47±7.95점, 사후점수 59.87±3.86점으로 4.4점 증가하여 SBAR 의사소통 교육 시행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2.67, p=.012). 따라서 ‘SBAR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 간호사는 참여 전보다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될 것이다.’라는 제3가설 또한 지지되었다.

Table 3. Difference in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SBAR Education Program (N=30)

https://www.nhs.or.kr/images/NHS-2401-02_image/NHS_24_01_02_T3.png

3. 대상자의 의사소통 명확성 문항별 정도

대상자의 의사소통 명확성의 문항별 정도는 Table 4와 같다. 의사소통의 명확성의 문항별 평균점수는 사전조사 4.11±0.46점에서 사후조사 4.64±0.38점으로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5.13, p<.001). 의사소통의 명확성의 문항에서는 사전조사에서는 ‘본인 부서 말하기’가 4.87±0.3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가장 낮은 문항은 ‘본인 이름 말하기’로 3.03±1.47점으로 가장 낮았다. 사후조사에서 문항별 평균점수는 ‘중요한 활력징후 보고’가 4.90±0.30으로 가장 높았으며, ‘본인의 이름 말하기’가 3.93±1.14로 가장 낮았다.

Table 4. Level of Communication Clarity(N=30)

https://www.nhs.or.kr/images/NHS-2401-02_image/NHS_24_01_02_T4.png

4. 대상자의 의사소통 자신감 문항별 정도

대상자의 의사소통 자신감의 문항별 정도는 Table 5와 같다. 의사소통 자신감의 문항별 평균점수는 사전조사 7.09±1.49점에서 사후조사 8.96±1.09점으로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5.69, p<.001). 의사소통의 자신감의 문항에서는 사전조사에서 ‘환자 상황 명확하게 보고’가 7.20±1.56점으로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문항은 ‘환자 상황에 필요한 제안, 요청 명확하게 보고’가 6.90±1.54점으로 가장 낮았다. 사후조사에서는 ‘환자 상황에 대해 체계적으로 명확하게 보고’가 9.20±0.92점으로 가장 높았고, ‘환자 상황에 대한 배경을 명확하게 보고’가 8.80±1.24점으로 가장 낮았다.

Table 5. Level of Communication Confidence(N=30)

https://www.nhs.or.kr/images/NHS-2401-02_image/NHS_24_01_02_T5.png

5.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 하위항목별 정도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 하위항목별 정도는 Table 6과 같다. 임상수행능력의 문항별 평균점수는 사전조사 2.64±0.38에서 사후조사 2.85±0.84로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2.67, p=.012). 임상수행능력은 ‘측정 및 관찰’(t=-2.60, p=.014), ‘수술 및 시술’(t=2.08, p=.046), ‘기타 의사소통’(t=-2.78, p=.010)의 항목에서 유의한 점수를 나타냈다.

Table 6. Level of Clinical Performance(N=30)

https://www.nhs.or.kr/images/NHS-2401-02_image/NHS_24_01_02_T6.png

논의

본 연구는 아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SBAR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의사소통 명확성은 SBAR 교육을 적용한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22]와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23]에서 SBAR 의사소통 교육 중재 후 의사소통 명확성 점수가 높아진 것과 일치하였으며, 선행 연구에서 신생아 전원 상황에서 의료인들에게 SBAR 의사소통을 적용하였을 때 의사소통 정보의 품질이 향상된 것과 유사하였다[24]. 이러한 결과는 SBAR를 적용한 구조화된 의사소통이 환자 상태에 대해 명료하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25]. 또한 SBAR 의사소통을 병원 환경에서 적용할 경우 표준화된 형식의 사용이 내재적인 소통의 규칙을 제공하며, 화자가 순서대로 정해진 형식에 따라 말하면 청자는 순서에 따라 전달될 내용을 예측하고 준비된 상태에서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정보의 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26].

또한 본 연구 결과 평균점수가 가장 높은 문항으로 ‘의사에게 연락 시 본인의 부서를 말한다.’, 평균점수가 가장 낮은 문항으로 ‘의사에게 연락 시 본인의 이름을 말한다’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같은 도구를 활용한 선행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23]. 이는 간호사가 환자 보고 시 담당 의사에게 해당 부서만을 말하며, 간호사 자신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간호사가 의사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이지 않고, 간호사가 의사와의 의사소통을 부담스러워하는 우리나라 의료 환경의 특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의사와 간호사간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이지 않다고 느끼는 것은 중요한 환자의 정보가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27], 의료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SBAR와 같은 구조화된 형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의료인간 정확하고, 동등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병원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한편 교육 시행 후 디브리핑 과정에서 간호사들은 “그동안 인지하지 못했던 환자보고의 문제점을 돌아보고 개선할 수 있어 좋았다”, “전달해야 하는 내용을 더 정확하고 간결하게 할 수 있는 것 같다.”라고 이야기하였다. “SBAR 교육을 통해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배울 수 있어 좋았다. 다른 직군 또는 간호사끼리의 의사소통 시 좀 더 명확하게 인계할 수 있을 것 같다.”, “SBAR 교육 프로그램을 프리셉터 교육이나 신규간호사 교육에도 활용하면 의사소통이 더 명확해 질 것 같다.”라는 소감과 의견을 제시해 SBAR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다양한 만족감을 표현하였다.

의사소통 자신감 또한 SBAR 교육을 적용한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신입간호사 대상 연구[10], 암 병동 간호사 대상 연구에서[3] SBAR 의사소통 교육 후 의사소통 자신감 점수가 높아진 것과 일치하였으며, SBAR 의사소통 교육을 시행 후 보고 시 자신감과 유능함을 느꼈다는 선행 연구와도[28] 유사하였다. 교육 후 진행한 디브리핑 과정에서 “의사에게 보고할 때 자신감이 생겼다.”, “짧은 시간에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후 보고할 수 있어 자신감이 생긴 것 같다.”라고 이야기하여 교육의 효과로 의사소통 자신감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SBAR 의사소통 교육을 아동 관련 부서에 적합한 다빈도 상황으로 적용하였으며, SBAR의 구조화된 틀을 활용한 시뮬레이션의 긍정적인 교육 효과로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의사소통 자신감의 항목별 측정 점수에서는 교육을 시행 후 ‘환자 상황에 대해 체계적으로 명확하게 보고’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교육이 명료하고 체계적인 의사소통을 제시할 수 있으나, 간호사가 아동을 간호하는데 필요한 병리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추후 아동 질병의 생리와 병리에 따른 교육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환자 상황에 대한 배경을 명확하게 보고’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바쁜 임상 환경에서는 SBAR 보고가 장황하게 느껴져 의사소통이 중단되거나 청취가 부족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환자 상황을 잘 아는 주치의에게 보고 시 간호사가 배경 정보를 생략하거나 간략히 전달하게 할 수 있다[25]. 이는 본 연구에서 환자의 상황에 대한 배경을 보고하는 항목 점수가 낮게 나타난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 그러나 효율성을 위한 생략된 보고는 환자 안전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SBAR 보고체계의 중요서에 대해 강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임상수행능력은 SBAR 교육을 적용한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암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3] 임상수행능력 점수가 높아진 것과 일치하였다. 발달 과정에 있는 아동을 돌보는 간호사는 제한적인 아동의 언어표현이나 행동을 통해 임상 상황을 판단해야 하며, 이 때 다른 의료진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은 환아의 상황을 해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SBAR를 활용한 구조화되고 명료한 의사소통은 이 과정에 도움을 주어 본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15].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본 연구의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은 의사소통의 명확성과 의사소통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구조화된 의사소통인 SBAR와 같은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역량을 강화하고 보고, 인수인계 등으로 인한 업무 부담을 감소시키며, 환자안전 오류의 감소와 간호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ADDIE 모델을 적용하여 SBAR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과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며, SBAR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 의료진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촉진시켜 업무갈등을 감소시키고 환자 중심의 간호제공과 환자안전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본 연구는 임상실무에서 아동 환자에게 발생하는 다빈도 간호 상황 3가지에 대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소아병동, 소아중환자실, 신생아중환자실 등 아동 관련 부서 간호사들이 역할극 시뮬레이션을 경험하였고, 디브리핑을 통해 각자의 경험과 의견을 나누고 SBAR 의사소통의 효과를 경험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임상실무에서 SBAR를 사용하여 구조화된 보고로 활용하는 것이 간호사와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을 명확히 하고, 긍정적 협력관계를 형성하며, 의사소통 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아동 환자에 대한 다양한 다빈도 간호 상황에 대한 SBAR 보고양식을 개발하여 아동 간호사들이 임상실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간호의 질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일개 상급종합병원 아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의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SBAR교육 프로그램 개발로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의 효과를 확인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의료현장에서 업무 특성상 끊임없이 의사소통해야 하는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질적 연구로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경험에 대한 연구와 다차원적인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Acknowledgements

None.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Funding

None.

References

1 Kim JW, Cho HY.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work engagement: mediating role of decision-making collaboration. J Creat Innov. 2020;13(2):33-62. 

2 Kim NR, Kim SE, Jang S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abilit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J Korean Crit Care Nurs. 2022;15(1):58-68. 

3 Kim YH, Choi YS, Jun HY, Kim MJ. Effects of SBAR program on communication clarity, clinical competence and self-efficacy for nurses in cancer hospitals. Korean J Rehabil Nurs. 2016;19(1):20-9. 

4 O’Rourke J, Abraham J, Riesenberg LA, Matson J, Lopez KD. A Delphi study to identify the core components of nurse to nurse handoff. J Adv Nurs. 2018;74(7):1659-71. 

5 Patterson ES, Wears RL. Patient handoffs: standardized and reliable measurement tools remain elusive. Jt Comm J Qual Patient Saf. 2010;36(2):52-61. 

6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 SBAR tool: situation-background-assessment-recommendation [Internet]. Boston (MA):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 2017 [cited 2025 Jul 6]. Available from: https://www.ihi.org/resources/tools/sbar-tool-situation-backgroundassessment-recommendation 

7 Kim MJ, Kim MO.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 Korea Content Assoc. 2021;21(10):668-78. 

8 Doucette JN. View from the cockpit: what the airline industry can teach us about patient safety. Nursing. 2006;36(11):50-3. 

9 BH Nam, SJ Choi, YJ Kim, HJ Kim, EY Oh, HB Kim, HR An. Effects of SBAR training program for new graduate nurses in a tertiary general hospital. Korean J Health Commun. 2024;19(2):79-88. 

10 Shin NY.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training applying Situation-Background-Assessment-Recommendation (SBAR) on nurse shift handover on self efficac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New Nurses. J Korean Soc Simul Nurs. 2018;6(2):57-68. 

11 Kim DW, Shin JS.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of nursing students with simulationbased SBAR communication education -using the scenario for infants & early childhood-. Korean J Saf Cult. 2022(16):105-18.  

12 Walker D, Moloney C, SueSee B, Sharples R, Blackman R, Long D, Hou X-Y.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errors in the prehospital paramedic environment: a mixed method systematic review. Prehosp Emerg Care. 2023;27(5):669-86. 

13 Toida C, Morimura N. An analysis of stress concerning pediatric emergency care nurses. Cureus. 2022;14(1):e21299.  

14 Hoyle Jr JD, Crowe RP, Bentley MA, Beltran G, Fales W. Pediatric prehospital medication dosing errors: a national survey of paramedics. Prehosp Emerg Care. 2017;21(2):185-91. 

15 Hyun SM. A comparison between pediatric and adult nursing unit regarding nurse-nurse collaboration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2. p. 1-81. 

16 Park JM, Jun S.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the communication and clinical judgment of nursing students and nur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23;29(3):203-24. 

17 Marshall S, Harrison J, Flanagan B. The teaching of a structured tool improves the clarity and content of interprofessional clinical communication. BMJ Qual Saf. 2009;18(2):137-40. 

18 Cho H. The effect of SBAR program education on a nurse’s communication clarity and self-expressio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3. p. 1-58. 

19 Kim EJ.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SBAR training program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and clinical judgement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8. p. 1-108. 

20 Kim JH. The application effects of simulation-based handover education program for new nurses [dissertation]. Daejeon: Eulji University; 2016. p. 1-100. 

21 Seels BB, Richey RC.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Bloomington (I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1994. p. 1-208. 

22 Yoon JH, Lee EJ.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stepwise handoff protocol based on the SBAR for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posttest design. J Korean Gerontol Nurs. 2023;25(4):387-99. 

23 Kim HY, Jeong YJ, Kang JY, Mun HS. The effect of SBAR reports on communication clarity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J Muscle Joint Health. 2016;23(2):105-13. 

24 Shahid S, Thabane L, Marrin M, Schattauer K, Silenzi L, Borhan S, Thomas S. Evaluation of a modified SBAR report to physician tool to standardize communication on neonatal transport. Am J Perinatol. 2022;39(2):216–24. 

25 Kim MY, Kim GS. The effect of SBAR communication on nurse’s perception about communication and attitudes toward patient safety. J Korean Clin Nurs Res. 2018;24(1):23-33. 

26 Do J, Shin S. Development of handoff education program using SBAR for nursing students and its effect 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9;26(2):117-26. 

27 Beckett CD, Kipnis G. Collaborative communication: integrating SBAR to improve quality/patient safety outcomes. J. Healthc. Qual. 2009;31(5):19-28. 

28 Ho MT. Implementing SBAR to improve communication to reduce incidence of medication errors [dissertation]. Arizona: Grand Canyon University; 2020. p. 1-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