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social support, fatigue, and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Original Article
정 지혜  Jihye Jung1김 혜영  Hyeyoung Kim2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fatigue, and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included 130 hemodialysis patients treated in the artificial kidney roo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th to October 20th, 2021 and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Social support, Fatigue,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47%. Among these factors, social support (B=.36, β=.53) had the greatest impact on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hat enhance social support and reduce fatigue and depression in hemodialysis patients, thereby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for developing tools that can quantitatively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se interventions on quality of life.

Keyword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고령화 사회로 인해 당뇨와 고혈압을 앓고 있는 환자가 급증하면서, 합병증으로 인한 만성 신부전 환자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1]. 만성 신부전은 질병의 합병증 및 신장의 구조적, 기능적 손상으로 인해 사구체 여과율이 60mL/min/1.73m2 미만으로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하며, 신장내과 전문의가 진단하여 일생 동안 신대체요법을 받아야만 생명을 연장할 수 있다[2]. 신대체요법에는 혈액 투석, 복막 투석 및 신장 이식 등이 있으며, 신대체요법을 결정할 때는 만성 신부전 환자의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선정한다[3]. 신대체요법 중에서 혈액 투석을 선택한 비율은 83.7%로 가장 높으며[3], 이는 고령 환자의 경우 자가 관리가 어려워 의료인의 도움이 필요할 때가 많고 다른 신대체요법의 적응증이 적합하지 않거나, 다른 신대체요법 치료중 합병증이 발생하여 혈액투석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 혈액 투석은 질병을 완치하는 것이 목적이 아닌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완화 요법으로, 일생 동안 투석 기계가 신장의 기능을 대신하기에[2] 혈액 투석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혈액 투석 환자는 팔과 다리에 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 AVF) 시술을 통해 혈관을 형성한다[3]. 혈액 투석 시 동정맥루에 두 개의 바늘을 삽입하여 투석 기계에 연결하고[4], 이를 통해 혈액이 나와 투석 필터를 통과한 뒤 여과된 혈액이 다시 체내로 들어가는 과정을 반복한다[5]. 혈액 투석은 주 2-3회, 2-4시간 동안 진행되며[6], 투석 기계를 통해 요독과 수분을 제거한다[1,6]. 혈액 투석은 신장의 기능을 대신하는 중요한 치료법이지만, 투석 환자에게는 신체적, 정신적 부담으로 인해 도움이 필요하다[7]. 혈액 투석 환자는 동정맥루의 크기와 모양이 변화되면서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사회적 지지와 육체적, 심리적 요인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다[8]. 혈액 투석 환자는 투석한 날에 피로감이 높고, 동정맥루 출혈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사회적 활동이 제한되므로 가족과 의료인의 지지가 필요하다[8,9]. 이는 사회적 지지라고 정의하며, 가족과 의료인 지지로 분류된다[8]. 사회적 지지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원으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완화하는 완충 역할을 하며, 혈액 투석 환자의 삶의 질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8]. 사회적 지지는 가족지지와 의료인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가족은 일상생활에서 희망과 격려를 통해 치료 이행 및 합병증 예방에 도움을 준다[10]. 혈액 투석 환자는 투석으로 인해 혈관 변화, 피부색 변화 등 신체상 변화를 겪으면서 스트레스, 피로 및 우울감을 경험하기에, 투병 생활을 적극적으로 도와줄 가족과 의료인이 필요하다[10-12]. 의료인은 혈액 투석 환자의 치료 과정에 개입하여 혈관 관리, 올바른 식습관과 수분 관리 및 혈액 검사 수치 관리를 통해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여 혈액 투석의 합병증 발생과 사망률을 줄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8,9].

피로감과 우울은 혈액투석 환자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예측 요인이다. 혈액 투석 환자는 체내에 축적된 요독과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체내의 수분 및 전해질 농도가 변화되어 적응하는 과정을 겪으면서 피로를 경험한다[11,12]. 혈액 투석은 분당 200회 이상의 혈액 펌프가 작동하여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불안을 초래할 수 있어 심리적인 피로감과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5]. 또한 혈액 투석 과정에서는 두 개의 바늘을 사용해 투석 기계에 연결된 상태로 움직임이 제한되어 피로감을 유발한다[4,5,12]. 우울은 삶의 의욕을 상실시켜 치료 순응도를 낮추고, 합병증으로 인한 입원률을 증가시켜 삶의 질과 생존율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1,13]. 특히 혈액 투석 환자는 투석으로 인해 동정맥루가 협착되어 혈관이 좁아지고 딱딱해지는 경우에 혈관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PTA)을 통해 혈관을 재개통해야 된다[14]. 혈액 투석을 위해 혈관성형술을 받아야 하는 투석환자는 심한 통증과 혈액 투석 치료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두려움과 우울감을 경험하여 삶의 질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13,14].

국내 혈액 투석 환자는 점차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는 식습관 및 생활 환경 변화로 인한 만성질병이 급증하며, 인구 고령화로 기대 수명이 증가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된다[1,3]. 혈액 투석은 복잡한 치료 과정으로 매 투석 시간 동안에 특정 위치에 제한되어 있어 심리적 불편함과 피로감이 높다. 또한 혈액 투석 환자는 동정맥루 협착 등 혈관 문제와 다양한 합병증으로 인해 식습관과 혈관 관리를 평생 동안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되어[3,7], 삶의 무력감을 느낌으로 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의료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생존율이 증가하고 새로운 치료법이 도입이 될 때마다 혈액 투석 환자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기에 변화되는 의료 환경에 대처하여 적극적으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혈액 투석 환자의 사회적 지지, 피로 및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및 삶의 질 도구 개발에 근거할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혈액 투석 환자가 지속적으로 치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환자 중심 간호에 근거한 개별화되고 체계적인 간호중재 개발과 혈액 투석 환자의 삶의 질에 적합한 도구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 투석 환자의 사회적 지지, 피로, 우울 및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혈액 투석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혈액 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피로, 우울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Y대학병원 인공신장실에서 혈액 투석 치료중인 환자이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1) 혈액 투석 기간이 3개월 이상인자; 2) 만 20세 이상 65세 이하인 자; 3)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서면 동의한 자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 수는 투석 환자의 삶의 질을 조사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G*power 3.1.9.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정력 .80, 효과크기 .15[15], 유의수준 .05, 예측변수 10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근거로 산출한 결과 118명이 산출되었다.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총 132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내용이 미비한 2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13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3. 연구도구

1)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Kim[8]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승인 받아 측정하였다. 사회적 지지 도구는 총 24문항으로 가족 지지 12문항과 의료인 지지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응답범주는 ‘매우 그렇다’ 5점, ‘대체로 그렇다’ 4점, ‘보통 그렇다’ 3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 2점,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으로 구성된 5점 Likert척도이며, 측정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 신뢰도는 가족지지 Cronbach’s α .94, 의료인지지 Cronbach’s α .93였고,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 Cronbach’s α는 .96이었다.

2) 피로

피로는 Tack[16]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Choi[17]가 투석 환자에 맞게 수정, 보완한 피로 도구를 사용승인 받아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피로 영향 8문항, 피로 정도 3문항으로 총 11문항이며, 10점 척도로 측정점수가 높을수록 피로가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3였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값은 .94이었다.

3) 우울

우울은 Beck 등[18]이 개발한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Kim 등[19]이 한국인에게 적합하게 번안한 한국판 Beck 우울척도-Ⅱ 도구를 사용승인 받아 측정하였다. 우울 도구는 4점 척도로 총 21문항이며, 측정점수가 0점에서 63점 만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86이었고, 본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는 .91이었다.

4) 삶의 질

삶의 질은 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Bang[20]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Kim[8]이 수정 및 보완한 삶의 질 도구를 사용승인 받아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정서 상태 12문항, 사회 활동 8문항, 신체 증상 6문항, 가족 관계 및 경제 상태 4문항, 삶에 대한 태도 5문항, 건강에 대한 인식 6문항으로 총 41문항이며, 21개는 역문항이다. 응답범주는 ‘전혀 없었다’ 5점, ‘거의 없었다’ 4점, ‘가끔 있었다’ 3점, ‘자주 있었다’ 2점, ‘항상 있었다’ 1점으로 구성된 5점 Likert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4였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값은 .96이었다.

5) 대상자 특성

대상자 특성은 일반적 특성, 치료관련 특성으로 총 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최종 학력, 배우자 여부, 종교, 경제 활동, 가족 월 평균 수입으로 총 7문항이며, 치료관련 특성은 투석 기간, 투석 교육의 필요성, 투석 교육 만족도, 입원 사유, 투석 정보 제공자로 총 5문항이다.

4. 자료수집

자료수집 전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해 계명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IRB No: 40525202105-HR-015-03)을 받은 후 진행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이었다. 연구자는 D광역시에 위치한 1000병상 이상의 대학병원 병원장과 간호본부 부서장에게 본 연구에 대한 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고 수행하였다. 본 연구자는 대상자에게 연구 목적과 방법 및 자료수집 절차 등에 대해 설명하고 참여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서면동의를 받고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시행하였다.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에 응답하였고, 직접 작성이 어려운 경우 연구자가 설문지의 내용을 읽어주고 대상자의 응답을 대신 표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생명윤리법에 의거하여 연구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3년간 보관하고, 개인정보에 관한 사항은 개인 정보보호법 시행령 제 16조에 따라 파기할 것을 대상자에게 설명하였다. 설문지 작성 소요시간은 평균 20-30분 정도이었고, 설문 조사를 마친 대상자에게는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5.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program (IBM Corp.)을 이용하여 다음의 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치료관련 특성, 사회적 지지, 피로, 우울 및 삶의 질은 빈도와 분포율, 평균값과 표준편차 등 기술통계량으로 분석하였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을 위해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3)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피로, 우울 및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4)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피로 및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남자 74명(56.9%), 여자 56명(43.1%)이었으며, 연령은 50세 이상이 80명(61.5%)로 가장 많았다. 최종 학력은 대졸 이상 72명(55.4%), 배우자 여부는 있음 84명(64.6%), 종교는 있음 86명(66.2%), 경제활동은 무 79명(60.8%), 가족의 월 평균 수입은 300만원 이상 49명(37.7%)으로 가장 많았다.

치료 관련 특성은 투석 기간 3년 이상 67명(51.5%), 투석 교육 필요성은 필요 65명(50.0%), 투석 교육 만족도가 만족 56명(43.1%), 입원 사유는 심혈관질환 41명(31.5%), 투석 정보 제공원은 간호사 59명(45.4%)으로 가장 많았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continued)

https://www.nhs.or.kr/images/NHS_24-004_image/NHS_23_01_02_T1-1.png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https://www.nhs.or.kr/images/NHS_24-004_image/NHS_23_01_02_T1-2.png

2.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피로, 우울 및 삶의 질 정도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피로, 우울 및 삶의 질 정도는 Table 2와 같다.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5점 만점에 3.51±0.95점으로 하위 영역에는 가족 지지 3.50±1.05점, 의료인 지지 3.52±0.96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피로는 10점 만점에 4.39±1.65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우울은 63점 만점에 33.8±9.45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삶의 질은 5점 만점에 3.24±0.64점으로 나타났다.

Table 2. Subjects Social Support, Fatigue, Depression and QOL

https://www.nhs.or.kr/images/NHS_24-004_image/NHS_23_01_02_T2.png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는 Table 3과 같다. 대상자는 일반적 특성에서 최종 학력(F=8.50, p<.001), 종교(t=-3.39, p=.001), 배우자 여부(t=-2.02, p=.045), 경제활동 유무(t=-2.80, p=.006), 가족 월 평균 수입(F=8.99, p<.001)에 따라 삶의 질에 차이가 있었다. 치료 관련 특성에서는 투석 교육 필요성(F=4.65, p=.011), 투석 교육 만족도(F=9.18, p<.001)에 따라 삶의 질에 차이가 있었다.

사후 분석 결과, 최종학력 ‘대졸 이상’이 ‘중졸 이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a>c). 가족 월 평균 수입 ‘300만원 이상’이 ‘100만원 이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a<d). 치료 관련 특성 중 투석 교육 필요성은 ‘매우 필요’가 ‘보통’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a>c). 투석 교육 만족도는 ‘매우 만족’이 ‘보통’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a>c).

Table 3. Differences in QOL According to Subjects Characteristics

https://www.nhs.or.kr/images/NHS_24-004_image/NHS_23_01_02_T3.png

4.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피로, 우울 및 삶의 질에 상관관계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피로, 우울 및 삶의 질의 상관관계는 Table 4와 같다. 삶의 질은 사회적 지지(r=0.74, p<.001), 피로(r=-0.61, p<.001), 우울(r=-0.55,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Correlations Among Subjects Social Support, Fatigue, Depression and QOL

https://www.nhs.or.kr/images/NHS_24-004_image/NHS_23_01_02_T4.png

5. 대상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Table 5와 같다. 삶의 질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삶의 질을 종속변수로 정하고, 대상자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검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교육, 배우자 여부, 종교, 경제활동, 가족 월 평균 수입, 투석 교육 필요성, 투석 교육 만족도의 7개 변수와 삶의 질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던 사회적 지지, 피로 및 우울 3개 변수를 포함하여 총 10개 변수를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중 최종 학력, 투석 교육 필요성, 가족 월 평균 수입, 투석 교육 만족도는 순서형 변수로 처리하였고, 배우자 여부(기준: 유), 종교(기준: 유), 경제활동(기준: 유)은 범주형 변수로 처리하였다.

회귀분석의 가정을 검정한 결과, Durbin-Watson을 이용하여 검정한 오차의 자기 상관은 1.65으로 검정 통계량보다 크기 때문에 자기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공선성을 검정한 결과 공차한계가 Model Ⅰ .70-.84, Model Ⅱ .55-.78으로 0.1이상이고, Variance Inflation Factor(VIF) 값이 Model Ⅰ 1.19-1.43, Model Ⅱ 1.28-1.81으로 10을 넘지 않아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었다.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33.72, p<.001), 대상자의 최종 학력, 배우자 유무, 종교, 경제활동 유무, 가족 월 평균 수입, 투석 교육 필요성, 투석 교육 만족도를 1단계에 투입한 결과(Model Ⅰ) 최종학력(B=.18, p=.013), 가족 월 평균 수입(기준: <100=1, ≥100~<200=0, ≥200~<300=0, ≥300=0)의 100만원 미만은 삶의 질에 영향을 준다(B=.11, p=.028). 투석 교육 만족도(B=.18, p=.015)으로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Model Ⅱ)에서 삶의 질과 상관관계가 있는 사회적 지지, 피로, 우울을 추가하여 투입한 결과 사회적 지지(β=.53, p<.001), 피로(β=-.15, p=.016), 우울(β=-.32, p<.001)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피로 및 우울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에 0.36점 상승하여 영향을 준다(B=.36, p<.001). 피로가 높을수록 삶의 질에 -0.06점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B=-.06, p=.016). 우울이 높을수록 삶의 질에 -0.02점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B=-.02,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adjusted R2)는 Model Ⅰ에서 25%, Model Ⅱ는 72%로 adjusted R2의 변화량은 유의하게 설명력이 증가하였다.

Table 5. The Factors Affecting to the QOL

https://www.nhs.or.kr/images/NHS_24-004_image/NHS_23_01_02_T5.png

논의

본 연구는 혈액 투석 환자의 사회적 지지, 피로, 우울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각 요인 간의 관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혈액 투석 환자의 삶의 질은 총점 5점 중 평균 3.24점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에서도 삶의 질을 측정한 결과, 혈액 투석 환자의 삶의 질이 3.02점[11], Cho & Lee의[7] 연구에서는 2.93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 도구와 동일한 삶의 질 평가 도구를 혈액 투석 환자에게 적합하도록 사용한 연구가 미비하여, 이를 토대로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혈액 투석 환자는 만성 질병으로 인해 평생 투석을 지속해야 생명을 유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며, 완전한 치유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15]. 따라서 혈액 투석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대상자의 삶의 질 하위영역을 분석한 결과, 삶에 대한 태도가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났고, 이는 명확한 삶의 목표를 가지고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13,15]. 삶의 질 도구의 삶에 대한 태도의 문항 중 ‘당신은 삶의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살아갑니까?’, ‘지난 한 달 동안 긍정적으로 생활했습니까?’, ‘현재 받고 있는 치료에 전반적으로 만족하십니까?’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이는 일상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기를 원하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다[8,13]. 두 번째로 높은 삶의 질 하위영역은 가족 지지와 경제 상태이며, 이는 삶에 대한 태도가 높은 이유를 뒷받침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가족 지지와 경제 상태는 삶의 만족감, 자신감,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통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8,20]. 따라서 가족과 의료인은 대상자의 삶에 대한 욕구를 이해하고, 혈액 투석 시간을 조정하여 경제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특히 혈액 투석 환자가 원하는 투석 치료에 대한 요구도와 선호도를 면밀히 파악하여 중재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 투석 환자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혈액 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선행연구에서도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유사하다[10,13]. 사회적 지지는 가족과 의료인 등으로부터 제공받는 긍정적인 정서와 물질적 자원을 통해 건강 유지 및 증진에 도움을 받는 개념으로[11,17], 사회적 지지가 높을 때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도 사회적 지지 중 의료인 지지가 가족 지지보다 높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하며, 가족 관계가 취약한 상황에서 가족 지지를 강조하는 것은 실질적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에게 과도한 부담을 줄 수 있어 대상자의 삶의 질을 낮출 수 있다[8,20]. 이에 의료인은 질병 치료에만 중점을 두지 말고, 심리 정서적 측면을 포함한 전인적인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체계적인 기반을 모색하여 효과적인 대안 마련에 이바지해야 된다. 또한 지역 내 기관에서는 자조모임과 지역사회 관계망을 구축하고, 의료시설과 복지기관 등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혈액 투석 환자의 삶의 질을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혈액 투석 환자의 피로는 다양한 신체적, 심리적 원인에 의해 유발되어 일상생활과 사회적 활동에 영향을 준다[1,3]. 혈액 투석 환자는 투석 과정에서 신체 에너지가 소모되고, 적절한 영양 섭취의 어려움과 빈혈 및 수면 장애 등으로 인해 피로가 가중된다[2]. 또한 불안과 우울은 심리적인 요인으로 피로를 더 가중시켜 악순환을 초래한다[15,18]. 피로와 우울은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피로는 신체적 문제뿐만 아니라, 심리적 요인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투석치료에 대한 동기 부여를 저하시켜 치료 순응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피로는 일상생활을 제한하고, 치료 순응도를 낮추어 사회적 고립을 초래하며,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 결과는 혈액 투석 환자의 피로와 우울이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했으며, 이는 혈액 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했다[17]. 혈액 투석 환자의 피로는 우울과 스트레스로 인해 일상생활과 직장 및 학업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만들어 삶에 큰 지장을 준다[13]. 피로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우울, 수면장애 등을 일으켜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15].

본 연구는 대상자의 우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액 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에서도 우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유사하다[13,15]. 우울은 일생동안 투석을 받아야 하는 투석 환자들이 경험하는 주요 부정적 정서 중 하나로, 이는 역할 수행을 저해하여 투석 치료 불이행과 여러 합병증을 유발하며, 심각한 경우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다[23]. 우울은 심리적 요인으로서 혈액 투석 환자에게 중요한 문제이며,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개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의료인은 대상자의 우울을 이해하고 부정적인 감정과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면밀히 파악하여 중재해야한다. 또한 혈액 투석실에서 근무하는 의료인은 혈액 투석 환자의 우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여 중재 방안을 제안해야 된다. 이에 피로와 우울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환자의 심리적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다각적인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혈액 투석 환자의 사회적 지지, 피로,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혈액 투석 환자 삶의 질을 명확히 파악하고 향상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혈액 투석 환자는 의료인이 함께 치료과정을 의논하고 도움을 주는 사람이라 믿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므로[9], 대상자와 함께 주기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삶의 질 측정 도구는 사회적 지지 도구와 상관관계(r=.74, p<.001)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연구에서 사용 시 제한점을 개선한 도구의 개발 및 수정 보완을 통해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본 연구 대상자는 1개 지역 1개 대학병원에 내원하고 있는 혈액 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다른 지역 및 다양한 혈액 투석 병원의 질병 특성을 구체화하여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혈액 투석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사회적지지, 피로, 우울 이외에도 질병 관련 특성과 세부적인 치료 특성을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영향요인을 파악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혈액 투석 환자에게 적합한 삶의 질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보다 신뢰성 높은 평가가 가능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130명의 혈액 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피로 및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 혈액 투석 환자의 사회적 지지, 피로, 우울이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인은 혈액 투석 환자의 삶의 질과 사회적 지지 자원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투석 환자의 특성에 적합한 치료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혈액 투석 환자의 우울과 삶의 환경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개별화된 맞춤형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속적인 치료 중재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혈액 투석 환자의 질병 이해와 수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혈액 투석 환자의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지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요인 분석과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 혈액 투석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간호중재 개발 및 적용을 제언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

Acknowledgements

References

1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24 recommendations for withholding and withdrawing dialysis i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Internet]. Seoul: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24 [cited 2024 June 15]. Available from: https://www.ksn.or.kr/ 

2 De Boer IH, Khunti K, Sadusky T, Tuttle KR, Neumiller JJ, Rhee CM, et al. Diabetes management in chronic kidney disease: a consensus report by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and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KDIGO). Dibetes Care. 2022;45(12):3075-90. 

3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Trends in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end-stage kidney disease from 2024 KORDS (Korean Renal Data System) [Internet]. Seoul: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24 [cited 2024 June 13]. Available from: https://ksn.or.kr/bbs/ index.php?code=report 

4 Jang JN, Boo SJ, Bae SH, Ahn JA. Effects of thermomechanical stimulation intervention during arteriovenous fistula puncture on hemodialysis patients’ pain, anxiety, and stress. Korean J Adult Nurs. 2022;34(2):205-14. 

5 Kim CS, Joo SY, Choi HS, Bae EH, Ma SK, Kim SW. Comparison of the medium cutoff dialyzer and postdilution hemodiafiltration on the removal of small and middle molecule uremic toxins. Kidney Res Clin Pract. 2023;42(6):712-22. 

6 Lee SB, Choi HJ, Kim AY, Lee HK.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medical expenditure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by consequence of renal replacement therapy. J Pharm Soc Korea. 2024;68(2):131-39. 

7 Cho YH, Lee YM. Resilience as a moderator and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Adult Nurs. 2019;31(1):68-77. 

8 Kim O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3. p. 1-73. 

9 Kim O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3. p. 1-73. 

10 Hur JY, Sim JH.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health literacy on sick role behavior in hemodialysis patients. J Korea Converg Soc. 2020;11(9):395-404. 

11 Lim KH, Kwon GS.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23;30(1): 1-12.  

12 Bossola M, Hedayati SS, Brys AD, Gregg LP. Fatigue in patients receiving maintenance hemodialysis: a review. Am J Kidney Dis. 2023;82(4):464-80. 

13 Barello S, Anderson G, Acampora M, Bosio C, Guida E, Irace V, et al. The effect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a meta-analysis. Int Urol Nephrol. 2023;55(4):897-912. 

14 Razavi MK, Rajan DK, Nordhausen CT, Bounsanga J, Holden A. Objective performance goals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linical outcomes for bare-metal stents and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for hemodialysis-related central venous obstruction. J Vasc Interv Radiol. 2023;34(10):1664-673. 

15 Jeon YA.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anxiety in hemodialysis patients. J Korea Internet Things Soc. 2018;4(1):722. 

16 Tack B. Dimensions and correlates of fatigue in older adults with rheumatoid arthritis [dissertation]. San Francisco: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1991. p. 1-132. 

17 Choi EY, Lee HY. The relationship of fatigue, self efficacy, family support and sleep factor in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Adult Nurs. 2005;17(3):435-43. 

18 Choi EY, Lee HY. The relationship of fatigue, self efficacy, family support and sleep factor in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Adult Nurs. 2005;17(3):435-43. 

19 Kim JH, Lee EH, Hwang ST, Hong SH. Korean-beck depression inventory-Ⅱ. 2nd ed. Korea Psychology; 2014. p. 1-4. 

20 Park HO, Bang WR, Kim SJ, Kim ST, Lee JS, Kim SG, et al. The quality of life of ESRD patient development of a tool and comparison between transplants dialysis patients.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1991;5(1):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