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의 발달로 인해 이를 의료분야에 적용한 원격보건(telehealth)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많은 국가들에서 각국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원격의료 서비스를 적용하고 있다. ‘원격’의 ‘tele-’는 명사 앞에 붙여 멀리 떨어져서 움직이거나 작동하는 것이라는 뜻을 더해 주는 접두사이며, 원격의료(telemedicine)는 의료전문가들이 개인들과 공동체의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진단, 치료, 질병과 부상의 예방, 연구 및 평가, 의료 서비스 공급자의 교육을 위해 ICT를 사용하여 의료서비스를 전달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원격 의료와 원격보건의 개념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1].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원격의료는 의료비용과 의료시간을 감소시키고 의료 불평등, 건강불평등 및 지역 의료 질 격차를 해소하여 질 높은 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2].
원격간호(telenursing)는 원격의료의 범위내에서 설명되어온 개념으로[3], 환자간호에 원격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써[4], ICT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의료행위를 제공 또는 지원하기 위해 의료정보를 교환하여 의료 기관과 환자 또는 의료 기관간 상호 실시간으로 동영상, 음성 등을 교류하는 원격의료[5]의 방법을 간호영역에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원격간호란 간호실무의 관점에서 ICT를 활용하여 원거리 방식으로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6]. 원격간호는 간호 활동을 향상시키는 전략으로 전문가가 이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대상자를 교육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대상자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시간과 자원을 절약하며 자가관리 가능성을 높인다[4]. 현재 국외에서는 원격간호와 관련하여 비교적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개념 정의에 있어서는 합의된 정의가 없고 가상간호(virtual nursing)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용어로 혼용되고 있다[6]. 국내의 경우도 전화상담, 홈모니터링과 같은 간호행위를 원격의료에 포함시킨 연구는 있으나 ‘원격간호’를 직접적으로 언급한 연구가 부족하고 그 개념이 모호한 실정이다[3]. 또한 COVID-19 시기를 겪으며 원격간호가 보건의료 측면에서 감염병 확산 위험의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 결과와[7] 경증 감염병 환자가 아닌 중증 환자인 경우에도 원격간호를 통한 대상자 케어가 효과적이었다는 연구 결과 등이 국외에서 보고되고 있다[8]. 반면, 국내에서는 ‘telenursing’이란 용어가 주로 간호사가 전화상담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때의 의미로 축소되어 사용되거나 원격지에서 가정 방문 간호사의 정보 이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9-11]. 그러나 Kim & Kim [2]의 간호학생,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원격의료 인식에 대한 연구에서는 간호학생들은 현재 교양 과목을 통하여 다양한 분야를 접하며 간호사보다 원격간호에 대한 이해가 높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원격간호에 있어 간호사의 새로운 역할과 기존 역할의 확대 방안에 대하여 다학제적으로 간호사들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원격간호의 개념을 이해하고 속성을 파악하는 것은 정보화시대에 간호연구와 간호실무를 이끌어가는 간호사들에게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정의 규명과 도구개발, 간호진단에 적용이 가능한 Walker와 Avant[12]의 개념분석 방법에 근거하여 원격간호의 개념을 분석하여 그 속성과 선행요인, 그리고 결과요인을 규명하고 원격간호의 개념을 정의해 보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간호의 명확한 속성 규명과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으로, Walker와 Avant[12]의 개념분석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원격간호에 대한 개념의 속성을 파악하고, 선행요인과 결과, 경험적 준거를 파악하기 위한 개념분석 연구이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본 연구에서는 원격간호의 개념적 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원격간호와 관련이 있는 사회학, 경제학, 교육학, 공학, 간호학 분야에서 2022년까지 출판된 문헌이다. 국내 문헌 검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s://www.riss.kr/)의 학술지 정보 검색을 통해 검색된 논문을 분석하였고, 검색어 ‘원격간호’, ‘전화상담’, ‘홈모니터링’, ‘원격보건’, ‘원격건강관리’로 문헌을 검색한 결과 7,134건이 검색되었다. 제목과 초록을 통해 일차적으로 원격간호와 관련이 없는 5,581건을 제외한 1,553건의 문헌을 선별하였으며, 원문을 확인할 수 없는 596건을 제외한 후 원문의 확인이 가능한 957건의 문헌을 분야별로 분류하였다. 이차적으로 원문을 정독하여 원격간호의 개념이 포함되지 않은 521건의 문헌을 제외하고 436건의 문헌 중 원격간호 개념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문헌이나 속성, 선행 요인, 결과의 원격간호 개념을 이끌어낼 수 없는 424건을 제외한 12건의 문헌을 개념분석에 포함하였다.
국외 문헌 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로는 Cochrane Library, PubMed, Embase를 이용하였으며, ‘telenursing’을 주제어로 검색된 문헌은 Cochrane Library에서 7,382건, PubMed에서 22,405건, Embase에서 474건으로 총 30,261건의 문헌을 수집하였다. 중복된 문헌 2,802건 및 제목과 초록을 통해 일차적으로 원격간호와 관련이 없는 23,912건의 문헌을 제외하였으며, 원문을 확인할 수 없는 2,262건의 문헌을 제외시켜 1,285건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1,285건의 문헌을 다시 초록과 원문을 통해 원격간호의 개념이 포함되지 않은 1084건의 문헌을 제외하고 201건의 문헌을 분석하였으나, 개념적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논문이나 본질적 의미 탐색이 부적합하다고 판단한 논문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15건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여기에 포괄적인 고찰을 위해 문헌 분석 과정에서 원격간호와 관련된 단행본 2종을 추가하여[13,14] 국외 문헌 총 17건을 포함하였으며, 따라서 국내외 문헌을 합하여 최종 분석에 포함된 문헌은 총 29편으로 구체적인 자료수집 절차는 Figure 1과 같다.
3. 연구자 준비
본 연구의 책임자와 공동연구자들은 개념분석을 위해 박사과정에서 간호이론개발 교과목을 이수하면서 개념개발 전략에 관해 심층 학습하였으며, 특히 개념분석에 관한 다양한 문헌고찰을 통해 Walker와 Avant[12]의 개념분석 방법을 숙지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교신저자는 다년간 개념분석 방법을 교육하고 지도한 경험과 개념분석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4. 자료 분석 방법
원격간호에 대한 개념과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자들은 정기적인 만남을 통해 문헌 분석을 위한 토론을 진행하고, 이 과정을 반복 수행하였다. 개념분석을 위해 수집된 문헌의 전문(full text)을 읽고, 각 문헌의 주요 내용을 구조화된 틀에 맞추어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개념의 속성을 발견하기 위해 주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면서 문헌에 제시된 개념 정의와 특성을 파악하고 공통점을 분석하여 최종적인 속성을 통합하여 도출하였다. 또한 문헌에서 제시하는 개념과 관련된 요인들을 모두 찾아 개념 발생 이전에 선행되는 요인과 결과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 절차는 Walker와 Avant가 제시한 개념분석 방법을 적용하였으며[12],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개념을 선정한다.
2) 개념분석의 목적을 설정한다.
3) 개념의 사용범위를 확인한다.
4) 개념의 속성을 규명한다.
5) 개념의 모델사례를 제시한다.
6) 개념의 추가사례(경계사례, 반대사례)를 제시한다.
7) 개념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확인한다.
8) 개념의 경험적 준거를 확인한다
연구결과
1. 원격간호 개념의 사용범위
1) 개념의 사전적 정의
원격간호의 사전적 정의를 찾기 위해 ‘원격’의 정의를 먼저 살펴보면, 한자로 遠隔은 ‘시간이나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으며[15], 영어로 원격(tele-)은 ‘at or over a long distance’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16]. 또한, ‘간호’는 한자로 看護로 표기되며, ‘다쳤거나 앓고 있는 환자나 노약자를 보살피고 돌봄’을 의미한다. 영어로 ‘nursing’은 ‘the job of taking care of people who are sick, injured, or old’의 뜻을 가진다.
따라서, 원격간호(telenursing)의 사전적 정의는 ‘시간이나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다쳤거나 앓고 있는 환자 및 노약자를 보살피고 돌보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ICT의 활용은 필연적이다. 즉, 임상의료, 환자 및 전문직 교육, 공중보건과 의료행정을 제공하기 위해 상호작용적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원격보건(telehealth)의 부분집합으로서[17], 원격간호는 ‘먼 거리에서 간호실무를 제공하기 위한 원거리 통신 및 정보 기술의 사용’을 뜻한다[18].
2) 타 학문에서의 개념사용
사회, 경제학 측면에서 원격근무는 현대인의 삶에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직장과 가정생활의 시공간적 변화를 야기한다는 측면에서, 사회학뿐만 아니라 건축, 도시, 교통 등 공간계획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뤄줘야 할 사회현상이다[19]. 그리고 통근 시간과 비용의 절감뿐 아니라 노동시장에 대한 접근성, 친환경성, 보조금 수혜 가능성 등 거의 모든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교류수단이 될 수 있다[20].
교육학 측면에서 살펴보면, 원격교육이란, 전통적 교육방식의 출석에 의한 대면학습과 달리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시간적, 공간적 원격성을 전제로 인쇄물이나 방송 통신 및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교육 공학 매체들을 매개로 하여 행하게 되는 새로운 형태의 대안적 교육방식이다[21]. 교육 현장의 학습 공백 및 교육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도입이 되었으며 COVID-19 시기에서 기존의 정책적, 교육적 방법과 달리 온라인 수업을 가능하게 해준 중요한 요인이 된다[22].
공학분야에서 원격탐사(remote sensing)란 멀리 떨어져 있는 대상물을 관측하는 기술용어로서[23], 측정하고자 하는 목표물을 직접적인 접촉 없이 목표물에서 복사되어 나오는 전자파를 감지하여 그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는 것이다. 주요 활용 분야를 살펴보면, 해양분야에서는 바다표면수온(sea surface temperature) 관측, 해빙 모니터링, 해상풍 관측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24]. 지표 분야에서 원격탐사는 일사량 산출, 지표면 온도, 증발산 등과 같은 다양한 지면 정보를 산출하고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으로 활용 가능하다. 대기분야에서는 가시광, 적외선,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구름의 특성, 황사, 태풍, 엘리뇨와 같은 대기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Teleoperation)란, 인간의 감각과 작업능력을 확장하는 것으로 많은 공학·기술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이다. 원격제어는 인간의 감각이나 능력을 먼 거리까지 확장하거나 정밀하게 움직이는 목적으로 발전되었다[25].
3) 간호학에서의 개념사용
국내에서는 원격간호라는 용어가 통용되지는 않으나, 다양한 간호학 문헌에서 원격모니터링, 홈모니터링, 건강상담전화, 원격의료서비스, 원격건강관리, 원격협진 등의 용어가 원격간호와 관련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의료는 시간, 거리 또는 자원적 문제로 제한이 있을 때 원거리에서 ICT를 사용하여 의료전문가들이 개인과 공동체의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진단, 치료, 질병과 부상의 예방, 연구 및 평가, 교육 등을 위해 의료서비스를 전달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으며[26-29], 원격의료와 원격보건은 종종 통합되어 사용된다[30].
원격모니터링 관련 연구에서 원격모니터링은 질환 관리를 주목적으로 ICT를 이용하여 환자의 정보(생체정보, 증상, 약물 복용 정보)가 전송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피드백 등이 제공되는 중재로 정의되고 있다[31,32]. 또한 원격건강모니터링은 원격지에서 간호사에 의해 주도되며, 건강모니터링 관련 정보통신 장비를 활용하여 대상자 맞춤형 건강상담 및 교육, 복약위험군 선별 및 현장방문, 복약DB 관리 및 기록하는 것으로 정의하여 좀 더 세부적으로 정의한 연구가 있었다[33]. 한편, Kim 등[34]은 홈모니터링을 전문간호사가 매주 1회 전화하여 수유량, 체중,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등을 확인하며, 이외의 추가적인 상담이나 응급상황으로 연락을 필요로 하는 경우 응급전화(hotline)로 직접 보호자가 전화함으로써 홈모니터링 응급전화분류 프로토콜에 따라 신속한 의료 서비스를 받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원격의료서비스와 관련된 한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제공하는 원격의료서비스를 원격의료 하위범주의 하나로 전화 또는 컴퓨터통신기술과 멀티미디어 기술을 이용하여 의료지식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5], 또 다른 연구에서는 원격의료서비스가 의료전문가들이 개인들과 공동체의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진단, 치료, 질병과 부상의 예방, 연구 및 평가, 의료 서비스 공급자의 교육을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사용하여 의료서비스를 전달하는 것으로 원격의료와 원격보건의 개념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30]. 이와 유사한 용어로 원격건강관리시스템에 대한 일 연구에서는 ICT를 이용한 보건의료서비스로 정의하였다[35].
원격협진과 관련한 연구에서 총 3가지 정의가 도출되었는데 Kwon등은 의사, 한의사, 간호사 등 의료인 간의 자문 형식의 원격진료를 의미한다고 하였으며[36], 비슷한 맥락으로 Yoo 등은 ICT를 활용한 방문간호사와 원격지 의사간 비대면 협진 방법 이라고 하였다[37]. 또한 Lee등은 방문간호 원격협진에 관한 연구에서 원격협진을 간호사와 협진의사가 ICT를 활용하여 대상자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적시 간호 제공 및 의사소통의 유용성을 증진시키는 시스템으로 정의하였다[38].
국외 연구 중 총 17개의 원격간호관련 문헌으로부터 원격간호에 대한 정의가 도출되었다. McVey는 최근까지 보고된 원격간호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요약하여 제시하였으며[6],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원격간호는 원격보건의 하위 범주로, 원격간호의 기존 정의는 연구에 따라 다르며 공통적으로는 ICT와 간호 측면을 포함하고 있었다[6]. 미국외래간호학회 (American Academy of Ambulatory Care Nursing)에서는 원격간호를 다양한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대상자를 평가하고 분류하며 간호/상담 제공 및 중재 수행을 위한 기술로 정의하였으며[13], Kim 등의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한 의미로 원격으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 및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것이라고 하였다[39]. Watkins와 Neubrander는 원격간호 정의에 대해 보다 세부적으로 기술을 기반으로 한 통신 플랫폼을 활용하여 대상자에게 상담, 평가, 모니터링, 치료 및 교육을 포함한 원격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하였다[40]. 한편, Schuelke 등은 ‘Virtual Nurse’를 가상 현실을 통해 특정 환자 그룹에 대한 환자 관리를 감독하는 전문간호사이며 원거리 지휘 센터에서 직접 환자 진료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41].
2. 원격간호의 잠정적 기준 목록과 속성
간호실무에서 원격간호의 개념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범위의 문헌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이 잠정적인 기준 목록과 속성을 확인하였다.
1) 원격간호의 잠정적 기준 목록
① ICT를 활용하여 비대면으로 대상자에게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② 대상자의 정보가 전송되며, 이를 바탕으로 환자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평가 및 관리한다.
③ 신체적 측정, 증상, 약물복용 등의 정보를 통해 대상자 맞춤형 신체 및 정신건강 상담을 제공한다.
④ 멀티미디어 및 다양한 교육 매체를 이용하여 의료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⑤ 원거리에서 디지털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정기적인 돌봄을 포함하는 중재이다.
⑥ 지역사회에서 방문간호사는 원격 진료를 직접적으로 지원할 뿐만 아니라 예방적 및 치료적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⑦ 의료인 간의 정보 공유, 의사소통, 자문을 통한 다학제간 협진이 이루어진다.
⑧ 간호활동을 향상시키는 전략으로 전문가가 이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대상자를 안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2) 원격간호의 속성 확인
간호실무에서 원격간호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문헌 고찰 및 잠정적 목록을 분석한 결과, 원격간호는 아래의 5가지 속성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 비대면 원거리 간호: ①, ⑤, ⑥
(2) 정보통신기술활용: ①, ④, ⑤
(3) 건강상태 모니터링: ②, ⑧
(4) 개별화된 간호서비스: ③, ④, ⑥, ⑧
(5) 다학제간 협업: ⑦
3. 개념의 모델 사례 구성
본 연구에서 개념의 모델 사례는 원격간호에 관한 개념의 모든 속성을 포함하며, 어떤 다른 개념의 속성은 포함하고 있지 않은 사례로서 정확하게 그 개념이 무엇인지 보여주며 실제 생활의 예가 될 수 있다[12].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원격간호의 3가지 주요 속성에 근거하여 모델 사례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COVID-19 관련 감염자 감소를 위해 00년 0월 0일 경증 환자는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시설에 격리하고, 병원 치료는 중증 환자에 한해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이용 가능한 병상 수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병원, 공공시설 또는 숙박시설에서 격리가 필요한 환자에게 생활 및 의료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지역사회 치료센터(Community Treatment Center [CTC])가 운영되었다. CTC에 내원한 COVID-19 경증 또는 무증상 환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간호 서비스가 도입되었고(1), CTC 간호사들이 생소한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프로토콜을 작성하여 적용하였다. 프로토콜에 의해 1일차에는 담당 간호사가 배정된 환자에게 영상 상담을 통한 초기사정을 하고 생활 수칙 및 활력징후 자가 측정 방법을 설명하며 비디오 영상자료를 전송하였다(2). 2일차에 환자들은 자가 측정을 통해 혈압, 체온,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를 1일 2회 보고하였고, 담당 간호사가 이를 검토한 후(3) 의사에게 비대면으로 환자 검사 정보를 제공하고 치료 방향에 대해 함께 논의하였다(5). 또한 감염관리, 증상, CTC 거주 시설 이용에 대한 상담 및 정서적 지지를 1일 2회 진행하였다(4). 7일차에는 격리 환자의 심리적, 정서적 상태를 조사하였으며(3), 환자가 비접촉 간호 서비스 중 불안이나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할 시 정신과 의사와 연결하여 심도 있는 심리상담을 받도록 하였다(5). 이에 더하여 운동과 식이교육에 대한 지원을 요청하고(5), 관련자료를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공유하였다(2).
4. 개념의 부가 사례 개발
다음 사례들은 경계사례, 반대사례들로 어떠한 이유로 모델 사례가 될 수 없는가를 보여줌으로써 간호실무에서 원격간호의 속성을 보다 명확히 제시하고자 하였다.
1) 경계 사례
개념의 중요한 속성 중 일부를 포함하고 있거나 혹은 비슷하지만 그 개념이라고 볼 수 없는 사례이다[12].
완도군은 2016년 의료기관 이용이 어려운 도서 주민을 위해 비대면 보건 의료 서비스를 시행하였다(1). 보건진료소 간호사는 응급 환자의 경우 후송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으므로 비대면 보건, 의료 서비스를 도와준다(4). 대표적으로 보건진료소를 내방한 환자의 병력, 증상을 파악한 후 원격지 의사에게 화상으로 협진하여(2), 환자가 의사에게 건강상태에 따른 처방을 받을 수 있게 도와주었다(5). 그러나 원격 서비스를 받기 위한 기기 작동에 어려움이 있으며 환자가 많으면 지체되기 때문에 대기 시간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2) 반대 사례
개념이 아닌 것에 대한 분명한 예로서 개념의 중요한 속성이 전혀 들어 있지 않는 사례이다[12].
00지역 보건소 간호사 C는 새로 발령받은 지역 어르신들의 치매 문제에 관심이 많았다. 치매 문제가 있는 지역 어르신을 발견하기 위하여 고위험자나 전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치매 간이 선별 검사 및 예방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지역 주민들이 보건소로 방문할 수 있도록 홍보하였다. C 간호사는 보건소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방문하신 어르신들께 치매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 후 소감 및 프로그램 개선점에 대해 정보 조사도 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C 간호사의 생각보다 보건소로 방문한 어르신들이 많지 않았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도 낮게 나와 의욕이 많이 떨어졌다. C 간호사는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른 지역 치매 예방 프로그램 내용과 효과를 정리하여 보건소장님을 찾아갔다. “소장님. 현재 다른 지역의 보건소에서 시행하고 있는 치매 교육보다 저희 지역의 치매 교육이 비효율적여서 참여율도 저조한 것 같아요. 이번 기회에 치매 사업에 대한 중간 점검과 함께 구체적인 대안을 고려해 봐야겠어요. 우선, 소장님께서 많은 지원을 약속해 주셨으면 좋겠어요.”라고 요청하였다.
5. 원격간호 개념의 선행요인, 결과, 경험적 준거
1) 선행요인
선행요인(antecedent)은 개념이 발생되기 전에 일어나야만 하는 사건이나 일들을 말한다[12]. 원격간호의 선행요인으로는 크게, 간호사 요인, 대상자 요인, 환경적/조직적 요인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42]. 간호사 요인으로는 간호사의 술기 및 태도에 있어 원격보건을 사용하기 위해 ICT 활용 능력과 같은 적절한 기술이 있어야 하며, 긍정적인 태도와 교육 기회를 가져야 한다. 간호사의 업무 및 운영과 관련하여서는 환자와 간호사, 또는 의료진 간 의사소통 및 관계가 원활해야 하며, 업무 부하를 줄이는 등 직업 만족도 역시 중요하다. 또한, 실시간으로 환자를 모니터링해야 하는 경우 등 실제 간호에 원격간호가 필요해야 한다. 대상자 요인으로는 감염질환 및 만성질환 등 환자의 임상적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대상자의 ICT 활용 능력이 필요하다. 환자가 사는 지역이 의료 취약지역이거나, 장기 입원이 어려운 상황 등 개인적 특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환경적/조직적 요인으로는 환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유연성이 필요하며, 원격간호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나 지침 등을 만들어야 한다. 기술적 요인으로는 사용하기 쉬워야 하며, 장비에 문제가 생겼을 때 효과적인 해결 방법을 미리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의 선행요인은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1) 가용자원부족
(2) 의료기관 접근성 제한
(3) 정보통신기술 기반시설
(4) ICT 활용능력
2) 결과
결과(consequence)는 개념이 발생한 결과로 나타나는 사건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념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결정하면 그 개념의 속성을 더욱 명확하게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된다[12]. 다음으로 간호실무에서 원격간호의 결과는 간호사 요인과 대상자 요인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간호사 요인으로는 양질의 원격간호 서비스의 제공, 간호의 효율성 증가, 간호전달 접근성 향상 등이 있고, 대상자 요인으로는 치료의 연속성, 환자만족도 증가, 간호사와 대상자의 관계개선, 합병증 감소, 대상자의 건강 증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Figure 2).
(1) 접근성 용이
(2) 비용절감
(3) 자원의 효율적 이용
(4) 간호지속성
(5) 간호사-환자 만족도 증가
3) 개념의 경험적 준거 확인
개념분석의 마지막 단계인 경험적 준거는 중요한 속성에 대한 경험적 대상을 실제 현장에 존재하는 것을 찾아보는 작업으로[12], 간호실무에서 원격간호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준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원격간호 속성을 활용하여 원격간호 개념을 활용한 측정도구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원격간호가 비대면 형태로 환자간호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원격 혹은 가상 상태에서 간호사가 제공한 중재나 다학제간 의사소통을 수행한 문서 등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6]. 그외 환자 만족도 증가[43], 건강상태 지표 개선[44-46], 의료접근성 증가[47] 등을 통해서도 측정이 가능할 것이다.
4) 원격간호의 정의
원격간호는 ‘원격지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간호사가 비대면 형태로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개별화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 간호사가 주도하지만 다학제간 정보공유와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간호전달 시스템’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논의
원격간호는 원격보건과 원격의료의 개념에서 파생된 개념으로 원격의료서비스 중 간호의 관점이 포함된 용어로, COVID-19 팬데믹을 거치면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7].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원격간호는 지역사회 뿐만 아니라 병원내 응급실, 중환자실, 암병동 등 다양한 간호현장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들어 원격간호중재의 효과를 검증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원격간호란 간호실무 범주내에서 ICT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간호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6]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격간호의 속성이나 정의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며 가상간호(virtual nursing)와도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의 방법을 이용하여 원격간호의 개념을 분석하였으며[12], 연구결과 원격간호는 원격지에서 ICT를 활용하여 간호사가 비대면 형태로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1:1 개별로 제공되는 모든 간호서비스를 의미하며 다학제간 정보공유와 협력을 기반으로 간호사가 주도하는 간호전달 시스템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선행요인으로는 가용자원부족, 의료기관접근성 제한, ICT 인프라, 원격간호기술 활용능력 등이 도출되었으며, 원격간호의 결과는 접근성 용이, 비용과 시간 소요 감소, 자원의 효율적 이용, 간호의 지속성, 간호사-환자 만족도 증가 등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정의는 최근 국외 문헌에서 원격간호의 개념을 분석하여 제시한 정의와 유사하였으나[6] ‘개별화된 간호서비스’, ‘다학제간 협력’ 등과 같은 특성이 새롭게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원격간호의 속성은 5가지로, 비대면 원거리 간호, ICT 활용, 건강상태 모니터링, 개별화된 간호서비스, 다학제간 협업 등이 포함되었다. 비대면 원거리 간호와 ICT 활용은 원격간호를 설명하는 공통적인 주요 속성으로 볼 수 있으며[4-6], 일부 연구에서 비대면 원거리 간호를 비접촉 간호(touchless nursing)로 기술하기도 하였다[6]. 비접촉 간호란 신체적 혹은 물리적인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 제공되는 간호로[26] 원격간호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상간호에서는 ‘원거리에 위치하는 가상의 공간’으로도 기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41]. 건강상태 모니터링 역시도 대부분의 원격의료와 원격간호 관련 문헌에서 포함한 특성으로, 여기에는 신체 뿐만 아니라 정신적 및 정서적인 부분까지 포함하고 있다. 간호서비스는 간호사에 의해 원격형태로 제공되는 고유한 모든 간호활동을 의미하며 대부분 1:1 개별로 제공되므로 실제 대면 형태의 간호보다 개별화된 간호에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원격간호는 간호사에 의해 주도되지만 ICT를 활용하여 다양한 건강관련 전문가들과 정보를 공유하면서 질적인 환자의 건강 결과를 도출해 내기 위해 협력하는 특성이 포함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원격간호에 대한 개념분석이 시행된 것으로 의의가 있다. COVID-19를 경험하며 비대면 간호 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한 시점에서[7] 원격간호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원격간호의 내용과 범위를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확립해 갈 수 있도록 간호계 내부는 물론, 다학제적 관점에서의 의견을 수렴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포함하여 문헌에서 기술되고 있는 다양한 용어의 통일도 시급해 보인다. 예를 들어, 원격간호는 가상간호와 혼용되고 있으며, 원거리 간호 역시 비접촉 간호, 혹은 가상공간에서의 간호 등과 같이 기술되고 있어 혼돈을 초래할 여지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격간호는 환자로 하여금 자가관리 역량과 기회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48], 접근성과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 습득을 용이하게 도와줄 수 있으므로[49] 그동안 대면간호 위주의 간호영역을 비대면 혹은 가상의 영역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3]. 따라서 원격간호를 통한 간호의 영역을 확장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실제 원격간호 형태로 적용 가능한 다양한 방법의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결론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의 방법을 이용하여 원격간호의 개념을 정의하고 속성을 명확이 분석하고자 시도된 개념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속성을 기반으로 원격간호를 원격지에서 ICT를 활용하여 간호사가 비대면 형태로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하거나 개별화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 간호사가 주도하지만 다학제간 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간호전달 시스템으로 정의하였다. 원격간호 개념을 명확히 하는 것은 임상간호사, 연구원, 의료 지도자들이 원격간호를 더 잘 이해하고, 적용하고, 연구하도록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원격간호에 관한 다양한 간호 프로그램 및 개념적 측정 도구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개념정의를 기초로 관련된 지식의 개발이나 문제해결 과정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추후 원격간호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개념 측정 도구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